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슈퍼리그

덤프버전 :

동아시아 슈퍼리그
파일:EASL 로고.png
정식 명칭국문: 동아시아 슈퍼리그
영문: East Asia Super League (EASL)
중문: 東亞超級聯賽 (東超) / 东亚超级联赛 (东超)
일문: 東アジアスーパーリーグ
창설2023년
참가 자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프로농구 우승 구단, 준우승 구단
파일:일본 국기.svg

B.리그 우승 구단, 준우승 구단
파일:필리핀 국기.svg

PBA 필리핀컵 우승 구단, 준우승 구단
파일:대만 국기.svg

P.리그+ 우승 구단
파일:홍콩 국기.svg

베이 에어리어 드래곤즈
최근 우승 구단안양 KGC인삼공사(2023)
최다 우승 구단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1회)
웹 사이트파일:EASL 로고.png

1. 개요
2. 역사
3. 참가 자격
4. 시즌별 일람
4.1. 2023 시즌
4.1.1. 조 편성 결과
4.1.2. 기록
4.2. 2023-24 시즌
4.2.1. 조 편성 결과
4.2.2. 기록
5. 상금
6. 중계권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동아시아 최강의 프로 농구단을 가리는 리그. 대회명과 동일한 동아시아 슈퍼리그에서 주관한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번의 프리 시즌을 거쳐 2021년에 본격적인 리그로 전환했다.


2. 역사[편집]


전신은 2017년에 진행된 8개 구단이 참가한 더 슈퍼 8과 12개 구단으로 증설해 2018년에 진행한 더 터리픽 12로 2021년 12월 1일 동아시아 슈퍼리그(EASL)라는 이름의 대회로 출범했다. 동아시아 슈퍼리그는 FIBA 및 FIBA 아시아와의 10년 협약으로 출범된 동아시아 최초 농구 클럽 대항전 리그로 홈 앤드 어웨이 형식으로 진행한다.

첫 시즌에는 홍콩 베이 에어리어 드래곤즈[1]를 포함해 대한민국 한국프로농구 우승/준우승 구단, 일본 B.리그 우승/준우승 구단, 필리핀 필리핀 농구 협회 우승/준우승 구단, 대만 P.리그+ 우승 구단 구성으로 참가한다. 각 구단은 외국 선수 2명과 아시아 쿼터 1명을 포함해 12명으로 로스터를 꾸릴 수 있다. 2022년 10월 12일 안양 KGC인삼공사 VS 산 미겔 비어맨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예선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지고 토너먼트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3월 5일까지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예선전이 취소하고 2023년 초 토너먼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결국 주최 측은 수개월의 예선 일정을 취소하고 2022년 8월2023년 3월 3일부터 3월 5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파이널 포'라는 이름으로 4강전과 결승전만 진행하기로 했다.[2] 그러다 2022년 12월2023년 3월 1일부터 3월 5일까지 일본 우츠노미야 닛칸 스타디움과 오키나와 아레나에서 '챔피언스 위크'라는 이름으로 조별 예선, 3·4위전, 결승전을 진행하는 것으로 재차 변경했다.


3. 참가 자격[편집]


원년시즌의 경우는 아래와 같았다.
참가 구분해당 국가와 리그
챔피언 결정전(파이널)에 진출한 구단
모두 참가 가능
대한민국한국프로농구
일본B.리그
필리핀필리핀 농구 협회(PBA) 필리핀컵
우승구단만 참가가능대만P.리그+
주최측 시드홍콩 베이 에어리어 드래곤즈[3]

이후 참가 자격이 바뀐 부분이 있는데 챔피언 결정전(파이널)에 진출한 구단 모두 참가 가능한 형태로 통일되면서, 대만P.리그+ 소속에서 한 구단이 추가로 참가하게 되었다. 원년 시즌에 중국 측 리그가 참가를 하려고 했다가 불발된 적이 있어서인지 더 받지는 않은 듯하다.


4. 시즌별 일람[편집]



4.1. 2023 시즌[편집]



파일:1회 동아시아 슈퍼리그 대진표.png


4.1.1. 조 편성 결과[편집]


A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안양 KGC인삼공사
(Anyang KGC)
류큐 골든 킹스
(Ryukyu Golden Kings)
타이베이 푸방 브레이브스
(Taipei Fubon Braves)
산 미겔 비어맨
(San Miguel Beermen)
B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서울 SK 나이츠
(Seoul SK Knights)
우츠노미야 브렉스
(Utsunomiya Brex)
베이 에어리어 드래곤즈
(Bay Area Dragons)
TNT 트로팡 기가
(TNT Tropang Giga)


4.1.2. 기록[편집]


A조
순위구단득점실점득실 차승률비고
1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안양 KGC20236156+801.000
2파일:류큐 골든 킹스 엠블럼.png류큐 골든 킹스20179146+331.000
3파일:타이베이 푸본 브레이브스 엠블럼.png타이베이 프본 브레이브스02147177-30.000
4파일:산 미구엘 비어맨 엠블럼.png산 미겔 비어맨02155239-84.000
B조
순위구단득점실점득실 차승률비고
1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서울 SK20172153+191.000
2파일:베이 에어리어 드래곤즈 엠블럼.png베어 에어리어 드래곤즈11180182-2.500승자승 앞서 2위
3파일:우츠노미야 브렉스 엠블럼.png우츠노미야 브렉스11189162+27.500승자승에서 밀려 3위
4파일:TNT 트로팡 기가 엠블럼.pngTNT 트로팡 기가02135179-44.000



4.2. 2023-24 시즌[편집]


원년시즌인 2023시즌이 끝나고 해를 거쳐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4.2.1. 조 편성 결과[편집]


A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Anyang JUNG KWAN JANG Red Boosters)
파일:치바제츠.webp치바 제츠
(Chiba Jets)
타이베이 푸방 브레이브스
(Taipei Fubon Braves)
TNT 트로팡 기가
(TNT Tropang Giga)
B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서울 SK 나이츠
(Seoul SK Knights)
신베이 킹스
(New Taipei Kings)
파일:류큐골든킹즈.webp류큐 골든 킹스
(Ryukyu Golden Kings)
메랄코 볼츠
(Meralco Bolts)


4.2.2. 기록[편집]


A조
순위구단득점실점득실 차승률비고

B조
순위구단득점실점득실 차승률비고


5. 상금[편집]


원년 우승 구단에게 100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대회 기간과 함께 상금 규모도 축소해서 우승 상금은 미화 25만 달러고 준우승 구단과 3위 구단에게는 미화 10만 달러와 5만 달러를 각각 수여한다.


6. 중계권[편집]


- 대한민국: SPOTV, SPOTV ON, SPOTV NOW
- 일본: 바스켓라이브
- 필리핀: TV5/시그널TV/원스포츠, 스카이케이블
- 대만: 모모티비, 포모사 TV
- 홍콩 및 마카오: 스포티비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한국프로농구한국여자프로농구
2군한국프로농구 D리그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 | 박신자컵
혼합한국프로농구 컵 대회박신자컵
국제동아시아 슈퍼리그 |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 FIBA 대륙간컵(FIBA 월드컵)
아마추어종합농구대잔치 | 전국체육대회 | 전국남녀종별선수권대회
실업-전국여자실업농구대회
대학한국대학농구리그 |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중고교춘계연맹전 | 협회장기 | 연맹회장기 | 주말리그 | 추계연맹전 | 돈보스코 농구대회
사회인전국직장인농구리그
장애인한국휠체어농구리그
3X3KXO리그WKXO리그
3X3 프리미어 리그 | 3X3 챌린저스-
폐지혼합프로-아마 농구 최강전-
대학대학농구연맹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6:41:25에 나무위키 동아시아 슈퍼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중국 CBA 우승 구단이 출전하기로 했으나 코로나19를 사유로 참가를 포기해 대신 참가한다.[2] 당시 2023년에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하기로 했다.[3] 이 시즌 당시 미리 참가를 확정지었었다.